연방방위군 중앙구호업무군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연방방위군 중앙구호업무군은 독일 연방군 소속으로, 평시 및 전시 의료 지원, 재해 발생 시 민간 지원, 해외 인도적 지원 등을 수행하는 부대이다. 군 병원, 의학 아카데미, 의료 작전 지원 사령부, 구호 지휘 사령부, 연방군 위생국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의료, 치과, 약제, 수의 분야의 장교 계급 체계를 갖추고 있다. 구호업무군은 독자적인 제복을 사용하지 않고, 소속 군종의 제복을 착용하며,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배지를 통해 소속을 식별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독일 연방방위군의 군종 - 독일 육군
독일 육군은 독일 제국 육군에서 기원하여 국방군을 거쳐 현재의 독일 연방군 육군으로 이어져 왔으며, 양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를 거쳐 독일 재통일 후에는 국제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하고 있다. - 독일 연방방위군의 군종 - 독일 공군
독일 공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체되었다가 재창설되어 NATO의 중요한 전력으로 기능했으며, 독일 재통일 이후 동독 공군을 흡수하여 현재는 NATO의 영공 감시 및 해외 파병 임무를 수행하며 전력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. - 2000년 설립 -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
부산영화평론가협회는 2000년 부산국제영화제의 부대행사로 시작되어 우수한 한국 영화와 영화인에게 상을 수여하는 영화상으로, 시상식에서 2015년부터는 포럼 형식으로 진행되며 대상, 각본상, 기술상, 연기자상, 신인감독상, 신인연기자상, 심사위원특별상, 이필우기념상 등의 부문으로 시상한다. - 2000년 설립 - 최저임금위원회
최저임금위원회는 최저임금 심의, 사업 종류별 구분 심의, 제도 발전 연구 등을 수행하는 고용노동부 소속 위원회로, 근로자, 사용자, 공익위원 각 9명씩 총 27명으로 구성되어 매년 다음 해 최저임금을 심의·의결하며, 결정은 고용노동부 장관의 고시를 통해 효력이 발생한다.
연방방위군 중앙구호업무군 - [군대/부대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개요 | |
![]() | |
창설일 | 2000년 10월 1일 |
종류 | 의무 부대 |
규모 | 20,000명 (2023년) |
본부 | 코블렌츠 |
모토 | (정보 없음) |
지휘부 | |
합동 의무대 사령관 | 육군 중장 울리히 바움게르트너 |
합동 의무대 부사령관 | 육군 중장 슈테판 쇼프스 |
주요 지휘관 | 잉고 파츠케 |
장비 | |
장비 | 병원 및 야전 병원 Rheinmetall MAN Military Vehicles YAK 메르세데스-벤츠 우니목 |
관련 정보 | |
기념일 | 2000년 10월 1일 |
웹사이트 | (정보 없음) |
2. 역사
2. 1. 창설 및 초기 발전
2. 2. 냉전 이후
3. 임무
평시(해외) 실작전 중인 장병들에게 독일 국내와 동등한 수준의 고도 의료 공급을 보장한다. 실작전 및 교육 훈련 중 부상 또는 질병에 걸린 장병의 치료(STRATAIRMEDEVAC)를 수행한다. 모든 의료 종사자에 대한 선진적인 의학 교육 훈련을 제공한다.
재해 발생 시 민간 긴급 지원에 참여한다. 공공 구조 업무에 참여하는데, 예를 들어 응급의학과 의사 및 코메디컬을 탑승시킨 헬리콥터 응급 구조 등이 있다. 연방 정부 명령에 따른 해외 인도적 지원을 수행한다.
의약품 및 위생 지원 물자 생산, 보관 및 배급을 담당한다. 군사 의료 분야 연구를 진행하며, 공무상 임상 검사를 수행한다. 상업 의료·간호 및 적성 검사(사열, 전문화 적성 검사)에 협력한다.
4. 조직
- '''연방방위군 합동 의료 본부''' 코블렌츠
- * '''연방방위군 중앙 병원''' 코블렌츠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함부르크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베를린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울름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베스터슈테데
- * '''연방방위군 의학 아카데미''' 뮌헨 에른스트 폰 베르크만 병영
- * '''의료 작전 지원 사령부''' 바이센펠스
- ** 신속 배치 의료 부대 사령부 레어
- ** 제1 의료 연대 바이센펠스 및 베를린
- ** 제2 의료 연대 레네로드 및 코블렌츠
- ** 제3 의료 연대 도른슈타트
- ** 의료 시범 연대 펠트키르헨
- ** 의료 물자 보급 및 유지 관리 센터 블랑켄부르크
- ** 의료 물자 보급 및 유지 관리 센터 프풍슈타트
- ** 의료 물자 보급 및 유지 관리 센터 콰켄브뤼크
- * '''의료 지역 지원 사령부''' 디에츠
- ** 의료 지원 센터 아우구스트도르프
- ** 의료 지원 센터 베를린
- ** 의료 지원 센터 코헴
- ** 의료 지원 센터 에르푸르트
- ** 의료 지원 센터 함멜부르크
- ** 의료 지원 센터 킬
- ** 의료 지원 센터 쾰른
- ** 의료 지원 센터 큄머스브루크
- ** 의료 지원 센터 뮌헨
- ** 의료 지원 센터 뮌스터
- ** 의료 지원 센터 노이브란덴부르크
- ** 의료 지원 센터 슈테텐 암 칼텐 마르크트
- ** 의료 지원 센터 빌헬름스하펜
- ** 연방방위군 스포츠 의학 센터 바렌도르프
- 구호 지휘 사령부
- 제1위생사령부 관구
- 제2위생사령부 관구
- 제3위생사령부 관구
- 제4위생사령부 관구
- 즉응 부대 구호 업무 집단
- 연방군 위생국
- 연방군 의과 대학 (뮌헨 소재)
- 연방군 의료직·환경보호연구소 ([베를린 소재)
- 연방군 의료 중앙 연구소 (킬 지소, 코블렌츠 지소, 뮌헨 지소)
- 연방군 스포츠 의학 연구소 (바렌도르프 소재)
- 연방군 구호 업무 운용 훈련·연습 센터 (펠트키르헨 소재)
- 위생 교도 연대 (펠트키르헨 소재)
- 군 의료 통계 공보 연구소 (안데르나흐 소재)
- 연방군 방사선 생물학 연구소 (뮌헨 소재)
- 연방군 미생물학 연구소 (뮌헨 소재)
- 연방군 약리학·독물학 연구소 (뮌헨 소재)
4. 1. 지휘 구조
연방방위군 중앙구호업무군의 지휘 구조는 다음과 같다.- '''연방방위군 합동 의료 본부''' 코블렌츠
- * '''연방방위군 중앙 병원''' 코블렌츠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함부르크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베를린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울름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베스터슈테데
- * '''연방방위군 의학 아카데미''' 뮌헨 에른스트 폰 베르크만 병영
- * '''의료 작전 지원 사령부''' 바이센펠스
- ** 신속 배치 의료 부대 사령부 레어
- ** 제1 의료 연대 바이센펠스 및 베를린
- ** 제2 의료 연대 레네로드 및 코블렌츠
- ** 제3 의료 연대 도른슈타트
- ** 의료 시범 연대 펠트키르헨
- ** 의료 물자 보급 및 유지 관리 센터 블랑켄부르크
- ** 의료 물자 보급 및 유지 관리 센터 프풍슈타트
- ** 의료 물자 보급 및 유지 관리 센터 콰켄브뤼크
- * '''의료 지역 지원 사령부''' 디에츠
- ** 의료 지원 센터 아우구스트도르프
- ** 의료 지원 센터 베를린
- ** 의료 지원 센터 코헴
- ** 의료 지원 센터 에르푸르트
- ** 의료 지원 센터 함멜부르크
- ** 의료 지원 센터 킬
- ** 의료 지원 센터 쾰른
- ** 의료 지원 센터 큄머스브루크
- ** 의료 지원 센터 뮌헨
- ** 의료 지원 센터 뮌스터
- ** 의료 지원 센터 노이브란덴부르크
- ** 의료 지원 센터 슈테텐 암 칼텐 마르크트
- ** 의료 지원 센터 빌헬름스하펜
- ** 연방방위군 스포츠 의학 센터 바렌도르프
- 구호 지휘 사령부
- 제1위생사령부 관구
- 제2위생사령부 관구
- 제3위생사령부 관구
- 제4위생사령부 관구
- 즉응 부대 구호 업무 집단
- 연방군 위생국
- 연방군 의과 대학 (뮌헨 소재)
- [베를린 소재)
- 연방군 의료 중앙 연구소 (킬 지소, 코블렌츠 지소, 뮌헨 지소)
- 연방군 스포츠 의학 연구소 (바렌도르프 소재)
- 연방군 구호 업무 운용 훈련·연습 센터 (펠트키르헨 소재)
- 위생 교도 연대 (펠트키르헨 소재)
- 군 의료 통계 공보 연구소 (안데르나흐 소재)
- 연방군 방사선 생물학 연구소 (뮌헨 소재)
- 연방군 미생물학 연구소 (뮌헨 소재)
- 연방군 약리학·독물학 연구소 (뮌헨 소재)
4. 2. 예하 부대
연방방위군 중앙구호업무군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.- '''연방방위군 합동 의료 본부''' 코블렌츠
- * '''연방방위군 중앙 병원''' 코블렌츠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함부르크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베를린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울름
- * '''연방방위군 병원''' 베스터슈테데
- * '''연방방위군 의학 아카데미''' 뮌헨 에른스트 폰 베르크만 병영
- * '''의료 작전 지원 사령부''' 바이센펠스
- ** 신속 배치 의료 부대 사령부 레어
- ** 제1 의료 연대 바이센펠스 및 베를린
- ** 제2 의료 연대 레네로드 및 코블렌츠
- ** 제3 의료 연대 도른슈타트
- ** 의료 시범 연대 펠트키르헨
- ** 의료 물자 보급 및 유지 관리 센터 블랑켄부르크
- ** 의료 물자 보급 및 유지 관리 센터 프풍슈타트
- ** 의료 물자 보급 및 유지 관리 센터 콰켄브뤼크
- * '''의료 지역 지원 사령부''' 디에츠
- ** 의료 지원 센터 아우구스트도르프
- ** 의료 지원 센터 베를린
- ** 의료 지원 센터 코헴
- ** 의료 지원 센터 에르푸르트
- ** 의료 지원 센터 함멜부르크
- ** 의료 지원 센터 킬
- ** 의료 지원 센터 쾰른
- ** 의료 지원 센터 큄머스브루크
- ** 의료 지원 센터 뮌헨
- ** 의료 지원 센터 뮌스터
- ** 의료 지원 센터 노이브란덴부르크
- ** 의료 지원 센터 슈테텐 암 칼텐 마르크트
- ** 의료 지원 센터 빌헬름스하펜
- ** 연방방위군 스포츠 의학 센터 바렌도르프
- 구호 지휘 사령부
- 제1위생사령부 관구
- 제2위생사령부 관구
- 제3위생사령부 관구
- 제4위생사령부 관구
- 즉응 부대 구호 업무 집단
- 연방군 위생국
- 연방군 의과 대학 (뮌헨 소재)
- 연방군 의료직·환경보호연구소 ([베를린 소재)
- 연방군 의료 중앙 연구소 (킬 지소, 코블렌츠 지소, 뮌헨 지소)
- 연방군 스포츠 의학 연구소 (바렌도르프 소재)
- 연방군 구호 업무 운용 훈련·연습 센터 (펠트키르헨 소재)
- 위생 교도 연대 (펠트키르헨 소재)
- 군 의료 통계 공보 연구소 (안데르나흐 소재)
- 연방군 방사선 생물학 연구소 (뮌헨 소재)
- 연방군 미생물학 연구소 (뮌헨 소재)
- 연방군 약리학·독물학 연구소 (뮌헨 소재)
5. 계급
wikitable
군의과 | 치과 | 약제과 | 수의과 | 해당 계급 |
---|---|---|---|---|
슈타프의사/Stabsarztde | 슈타프의사/Stabsarztde | 슈타프아포테커/Stabsapothekerde | 슈타프스베테리네르/Stabsveterinärde | 대위 |
오버슈타프의사/Oberstabsarztde | 오버슈타프의사/Oberstabsarztde | 오버슈타프아포테커/Oberstabsapothekerde | 오버슈타프스베테리네르/Oberstabsveterinärde | 소령 |
오버펠트의사/Oberfeldarztde | 오버펠트의사/Oberfeldarztde | 오버펠트아포테커/Oberfeldapothekerde | 오버펠트베테리네르/Oberfeldveterinärde | 중령 |
오버슈트의사/Oberstarztde | 오버슈트의사/Oberstarztde | 오버슈타프아포테커/Oberstapothekerde | 오버슈트베테리네르/Oberstveterinärde | 대령 |
게네랄의사/Generalarztde | 게네랄의사/Generalarztde | 게네랄아포테커/Generalapothekerde | - | 준장 |
게네랄슈타프의사/Generalstabsarztde | - | - | - | 소장 |
게네랄오버슈타프의사/Generaloberstabsarztde | - | - | - | 중장 |
5. 1. 육군 및 공군
wikitable군의과 | 치과 | 약제과 | 수의과 | 해당 계급 |
---|---|---|---|---|
슈타프의사/Stabsarztde | 슈타프의사/Stabsarztde | 슈타프아포테커/Stabsapothekerde | 슈타프스베테리네르/Stabsveterinärde | 대위 |
오버슈타프의사/Oberstabsarztde | 오버슈타프의사/Oberstabsarztde | 오버슈타프아포테커/Oberstabsapothekerde | 오버슈타프스베테리네르/Oberstabsveterinärde | 소령 |
오버펠트의사/Oberfeldarztde | 오버펠트의사/Oberfeldarztde | 오버펠트아포테커/Oberfeldapothekerde | 오버펠트베테리네르/Oberfeldveterinärde | 중령 |
오버슈트의사/Oberstarztde | 오버슈트의사/Oberstarztde | 오버슈타프아포테커/Oberstapothekerde | 오버슈트베테리네르/Oberstveterinärde | 대령 |
게네랄의사/Generalarztde | 게네랄의사/Generalarztde | 게네랄아포테커/Generalapothekerde | - | 준장 |
게네랄슈타프의사/Generalstabsarztde | - | - | - | 소장 |
게네랄오버슈타프의사/Generaloberstabsarztde | - | - | - | 중장 |
6. 제복
구호업무군은 독자적인 제복을 제정하지 않았다. 구호업무군 구성원은 각 출신 모체인 육군, 해군, 공군의 제복을 착용한다. 모든 제복 착용자는 소속을 증명하기 위해 정식 셔츠에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새긴 라운드형 식별 배지를 와이셔츠 깃의 오른쪽에 부착하여 계급이나 출신 군종 등을 식별한다. 육군 및 공군 제복 착용자는 은색, 해군 및 장관 제복 착용자는 금색 식별 배지를 부착한다.
참조
[1]
웹사이트
Aktuelle Personalzahlen der Bundeswehr [Current personnel numbers of the Federal Defence]
https://www.bundeswe[...]
2020-05-28
[2]
웹사이트
Strukturen für die ‚Bundeswehr der Zukunft‘: Viel Unruhe, wenig Klarheit – Augen geradeaus!
https://augengeradea[...]
[3]
웹사이트
Die Starke der Streitkrafte
http://www.bundesweh[...]
2010-07-01
[4]
서적
自衛隊 知られざる変容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